음악감상

[스크랩] (라틴)La Dama De Rojo(Lady in Red) - Chris De Burgh

yousong 2016. 4. 27. 11:44

La Dama De Rojo(Lady in Red) - Chris De Burgh




 


Lady In Red ** Chris De Burgh

 
NUNCA TE HABÍA VISTO LUCIR TAN HERMOSA COMO ESTA NOCHE.
NUNCA TE HABÍA VISTO BRILLAR TAN FUERTE.
NUNCA HABÍA VISTO TANTOS HOMBRES PEDIRTE SI QUERÍAS BAILAR.
ELLOS BUSCAN UN PEQUEÑO ROMANCE, DADA CASI LA OPORTUNIDAD.
Y NUNCA HABÍA VISTO ESE VESTIDO QUE LLEVAS,
NI LOS REFLEJOS EN TU CABELLO, QUE LLEGAN HASTA TUS OJOS.
HE ESTADO CIEGO.
LA DAMA DE ROJO ESTÁ BAILANDO CONMIGO, MEJILLA CON MEJILLA.
NO HAY NADIE AQUÍ, SÓLO TÚ Y YO.
ES DONDE QUIERO ESTAR,
PERO APENAS CONOZCO A ESTA BELLEZA QUE ESTÁ A MI LADO.
NUNCA OLVIDARÉ LA MANERA EN QUE LUCES ESTA NOCHE.
NUNCA TE HABÍA VISTO LUCIR TAN HERMOSA COMO ESTA NOCHE.
NUNCA TE HABÍA VISTO BRILLAR TAN FUERTE, ESTABAS INCREÍBLE.
Letras4U.com » letras traducidas al español
NUNCA HABÍA VISTO TANTA GENTE QUERER ESTAR A TU LADO.
Y CUANDO TE VOLVISTE HACIA MÍ, ME QUEDÉ PASMADO.
Y NUNCA HABÍA TENIDO UNA SENSACIÓN ASÍ,
UNA SENSACIÓN DE AMOR COMPLETO Y ABSOLUTO, COMO ESTA NOCHE.
LA DAMA DE ROJO ESTÁ BAILANDO CONMIGO, MEJILLA CON MEJILLA.
NO HAY NADIE AQUÍ, NO HAY NADIE AQUÍ, 
SÓLO TÚ Y YO.
ES DONDE QUIERO ESTAR,
PERO APENAS CONOZCO A ESTA BELLEZA QUE ESTÁ A MI LADO.
NUNCA OLVIDARÉ LA MANERA EN QUE LUCES ESTA NOCHE.
NUNCA OLVIDARÉ LA MANERA EN QUE LUCES ESTA NOCHE...
LA DAMA DE ROJO, LA DAMA DE ROJO.
LA DAMA DE ROJO, MI DAMA DE ROJO.
COLABORA 


La Dama De Rojo(Lady in Red) - Chris De Burgh

 





 

1. I love you

 

Chris De Burgh 크리스 디 버그의 서정성 짙은, 한 편의 시 같은 .

 

팝가수이면서도 미국이나 영국보다는 남미를 비롯, 유럽과 아시아에서 훨씬 더 많은 인기를 구가했던, 어떻게 보면 이색적이기도 한 크리스 드 버그. 이 노래는 86년 발표되어 이후 로맨틱 팝 발라드하면 빠지지 않는 고전이 되었다.

 

또한 그의 노래 중 가장 대중적으로 사랑받은 곡이기도 하다.

 

영화 에 수록도기도 했던 는 조금은 나른한 듯한 크리스 드 버그의 목소리와 멜로디가 절묘하게 결합된 노래로, 곡 전체가 깔끔한 수채화처럼 아름답게 빛나지만 이 곡의 하이라이트이자 화룡정점, 그 백미는 - 가장 단순한 표현이자 가장 아름다운 표현 - 노래 마지막부분에서 속삭이듯 스쳐지나가는 그 한마디,

 

 

"I Love You"

 

이 속삭임이 들린다면 는 그걸로 이미 충분하다.

 

Chris De Burgh를 들을때면 항상 Chistoper Cross가 연상되는데, 부드러운 카펫위를 걸어가듯 노래가 지니고 있는 고급스러운 선율과 순수함이 묻어나는 목소리, 작위성이 없는 곡 전개 때문이 아닐까.

 

 

 

 

 

 

2. Chris De Burgh

 

'The Girl With April In Her Eyes', 'Lady In Red' 등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인기가 높았던 팝 록 뮤지션 크리스 디 버그가 1948년 10월 15일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크리스토퍼 존 데이빗슨(Christopher John Davidson).

 

(ㅎㅎㅎ 크리스의 '귀엽쥐?' 버전. ㅎㅎㅎ)

 

비록 출생지는 아르헨티나이지만 그는 아일랜드계 부모에게서 태어난 영국인. 그는 최고의 팝 시장 미국은 물론 자신의 활동권인 영국 등지에서보다는 기타 지역 특히 브라질 등에서 더 인기가 높았던 경우에 속한다.

 

미국 시장에서의 히트작이라야 1983년 히트곡 'Don't Pay the Ferryman'이 싱글 차트 34위, 그리고 1987년 'Lady In Red'가 3위에 오른 것이 눈에 띄는 정도였다. 영국에선 'The Lady in Red'가 1위, 'Missing You'가 3위에 올랐다.

 

앨범으로는 1986년의 [Into the Light]이 미국 차트 25위에 오르며 골드 레코드를 기록한 것이 최고(이 앨범은 영국 차트 2위에 올랐고 이어진 [Flying Colours]는 영국 차트에선 1위에 올랐지만 미국에선 차트 진입에 실패했다).


1974년 A&M 레코드와 계약을 맺고 음악계에 들어선 그는 슈퍼트램프(Supertramp)'Crime of the Century' 투어에 서포터로 나서면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1975년 포크 성향의 데뷔작 [Far Beyond These Castle Walls]를 내놓았고 여기서 싱글 커트된 'Flying'이 영국에선 별 반응을 못얻었지만 브라질에서 17주간이나 차트 1위를 기록하는 이변을 낳았다.

 

이후 1970년대 낸 그의 앨범들은 영국과 미국보다는 유럽 및 남미 지역 등에서 인기를 얻는 현상을 보였다. 우습게도 우리나라에서 인기를 얻은 'The Girl With April In Her Eyes'는 1979년 [Crusader] 앨범 수록곡이지만 차트에도 오르지 못했던 곡.


하지만 1980년대 들어 상황은 변하기 시작했고 베스트 앨범 [Best Moves](1981)로 영국 차트에 진입했고 이듬해의 정규 앨범 [The Getaway]는 영국 차트 30위 미국 차트 43위를 기록했다. 바로 이 앨범에 히트 싱글 'Don't Pay the Ferryman'이 들어있었다.

 

이어진 [Man on the Line]은 미국 차트 69위, 영국 차트 11위를 기록했다. 그 이후 그는 최고 히트 앨범 [Into The Light]으로 절정기를 맞았지만 그 이후 미국 시장에서는 별 반응을 얻지 못했다.


 

하지만 스튜디오 앨범 [This Way Up](1994), 신곡이 포함된 리메이크 앨범 [Beautiful Dreams](1995)에 이어 1999년 [Quiet Revlution], 2002년 [Timing Is Everything]을 내며 꾸준한 창작 활동을 보이고 있다.


 

 


출처 : 아트힐
글쓴이 : 이제는 원글보기
메모 :